과거 정부에서 운영하던 전국 19개의 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혁신센터’)가 ▲개방성 ▲다양성 ▲자율성의 3대 원칙 아래 혁신 플랫폼으로 탈바꿈한다.
정부는 새롭게 바뀌는 혁신센터가 새로운 시도, 과감한 도전을 할 수 있는 혁신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정부는 7일 확대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와 같은 내용의 창조경제혁신센터 세부 운영방안을 발표했다.
그동안 정부는 지난해 11월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방안’에서 혁신센터를 ‘지역 혁신창업 허브’로 개편하는 방향을 설정한 이후 지자체·대기업·센터장 간담회, 민간 전문가 토론회 등을 거쳐 세부 운영방안을 마련했다.
혁신센터가 그간 공과가 모두 있었던 만큼, 이번 세부 운영방안에서는 장점은 계승하되 정부 주도의 하향식 의사결정 구조, 일률적인 운영방식 등 문제점은 개선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주요 개편내용은 다음과 같다.
지역에서 사람, 정보, 아이디어가 모이는 혁신 문화 허브 공간으로 탈바꿈한다.
혁신창업 포럼과 강연 등 ‘한국형 TED’를 운영하고 선배 기업인·혁신가·연구자·학생들이 모이는 다양한 혁신활동을 활성화하는 한편, 지역사회 혁신에 관심 있는 소셜벤처를 발굴·육성하고 제조창업 분야 등을 지원하는 혁신센터를 중심으로 메이커스페이스도 확충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센터가 발굴한 유망 스타트업은 창업자금, R&D, 모태펀드를 활용한 정부 지원으로 확실하게 뒷받침한다.
올해부터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내 혁신센터 보육기업을 액셀러레이터가 투자 때 R&D 자금을 지원하는 별도 트랙을 신설하고, 혁신적인 창업기업 대상으로 정책자금(2018년 1000억원)도 지원한다.
또한, 단계적으로 투자기능을 확충해 액셀러레이터 등록, 모태펀드를 활용한 개인투자조합 결성 및 지역펀드 조성도 지원한다.
한편, 혁신센터는 지역 스타트업 후원자로서의 기능에 집중하고 테크노파크는 성장단계 중소기업 지원으로 역할을 분담한다.
이와 함께 다양한 주체의 참여와 새로운 시도를 통한 지역 오픈이노베이션 거점으로 변모한다.
대기업과 혁신센터 간 1대1로 매칭되는 전담구조를 보완해 지역 중소·중견기업, 대학 등으로 협력 파트너를 확대한다.
지역 여건, 참여기업 수요 등을 반영해 자율적으로 특화분야를 조정하고, 글로벌(경기), 유통(부산) 등 기존 거점기능 외에도 혁신센터별 강점에 따른 자율적인 특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돕는다.
예를 들어 전남의 경우 농수산벤처, 관광·6차 산업은 유지하고 바이오화학은 바이오활성소재로 조정한다는 방침이다.
이어 정부가 주도해 온 의사결정기구인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위원회’는 폐지하고, 혁신센터별 이사회와 지역의 협의회를 중심으로 운영한다.
도전을 장려하고 우수 프로그램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변화 시도에 대한 인센티브, 참여주체·협업기관·센터간 협력 촉진 등 새로운 성과평가방식을 도입한다.
또한 센터장 공모절차를 개선해 우수한 전문인력의 참여기회를 확대하고 투명성을 높이기로 했다.
경제팀=박재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