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투표 직후, 주요국의 증시는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으며, 파운드화의 가치가 폭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안전자산으로 달러화와 엔화가치는 급등세를 보였다. 오죽하면 “아베노믹스의 3년을 브렉시트가 원점으로 돌려놨다”라는 말까지 나왔을까.
신흥국의 경우는 주가와 통화가치가 모두 폭락하면서 자본유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다행히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단기적인 시장불안은 다소 줄어든 양상이지만,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크게 높아진 것은 사실이다.
전 세계 금융시장이 동요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세계 경제에서 영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작지 않다는 점이다. 특히 런던은 국제금융의 중심지이며, 영국계 금융기관의 네트워크는 전 세계에 뻗어있다.
따라서 ‘북경의 나비 날개짓이 뉴욕에 허리케인을 일으킬 수 있다’는 이른바 ‘나비효과’는 바로 브렉시트와 같은 사건을 두고 하는 말이다.
둘째, EU 탈퇴는 전례가 없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아무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다는 점이다. EU 탈퇴와 관련하여 영국경제는 여러 가지 불이익에 직면할 수 있는데, 그 여파가 다른 EU 회원국으로 확산될 우려가 있다.
브렉시트를 보는 시각은 작게는 영국만의 문제라는 견해부터 크게는 세계화의 부작용에 대한 반작용으로 보는 견해까지 다양하다.
특히 브렉시트의 여파가 장기화되고, 실물경제로 옮겨가게 될 경우, 주요국의 대응에 따라 신보호주의의 서막이 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와 같은 경고는 미국 대선과 관련된 소식과 맞물려 다소 과장된 측면도 있다. 브렉시트의 주요 이슈(이민, 주권보호)를 미국 대선에서의 쟁점과 직결시키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우리 경제가 전형적인 소규모 개방경제로 전 세계적인 무역확장의 최대 수혜자였다는 점에서, 불안요인이 증가한 것은 사실이다.
브렉시트는 단기적으로는 금융경로를, 중장기적으로는 무역경로를 통해 우리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의 증가와 함께 전반적인 위험인식이 높아지면, 안전자산에 대한 쏠림현상이 발생한다.
반대로 유가와 신흥국의 통화가치는 하락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외국자본의 유출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주가하락은 ‘부의 역효과’를 불러일으켜 소비감소, 내수위축을 가져올 수 있다.
국내 외국인 은행대출의 24%를 차지하는 영국계 금융기관들의 해외포지션 운영과 국내 주식시장에 대한 투자동향도 예의주시해야 하는 부분이다.
주요국의 성장률이 둔화될 경우 수출은 감소할 소지가 높다. 산유국의 경기침체가 우리 경제에 미칠 수 있는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다행히 우리 경제의 상황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에 비해 훨씬 개선된 상황이다. 과거에 비해 단기부채의 비중이 높지 않고, 지속적인 경상수지 흑자와 함께 외환보유고 또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주요국 정부 및 중앙은행들이 신속히 정책대응을 모색 중인 점도 긍정적이다.
반면에 브렉시트가 현실화된다면, 유럽은 수년에 걸쳐 큰 변화를 겪을 것이다. 이 변화는 방향을 예측할 수 없다는 점에서 지속적인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단기적으로는 금융거래 동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되, 상황별 대응전략을 구축하는 것이다.
특히 정보오류가 과도한 시장불안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정확한 판단능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만약 브렉시트가 2~5년에 걸쳐 진행될 확정된 사안이라면, 수없이 등락을 반복하는 유럽발 소식에 대해 일희일비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중장기적인 예견능력과 준비가 필요하다. 우선적으로는 불확실성에 대비하여 대외건전성 유지에 힘써야할 필요가 있다. 이는 거시경제 운영당국은 물론, 개별기업에도 해당된다.
브렉시트가 어떠한 결말을 갖게 될지 지금으로서는 예견하기가 어렵다. 극적 반전에 의한 국민투표 결과의 철회, 아니면, EU 회원국의 연쇄탈퇴? 이 모든 것들은 아직 상상속의 상황들이다.
그러나 국민투표 결과와 같이 브렉시트가 전개된다면 세계경제의 체제와 구조는 어떠한 방식으로든 변화를 겪을 수밖에 없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닷컴 버블의 붕괴, 글로벌 금융위기, 유럽의 재정위기 등 우리 경제는 수 년 간격으로 외부발 충격에 직면했다.
이러한 외생적 충격에 대해 우리가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따라 충격 이후 새롭게 짜인 판에서 우리의 경쟁력이 결정된다.
따라서 브렉시트에 대한 단기적 대응 외에도 충격 이후에 새롭게 형성될 구조적 변화에 대해 준비하고, 그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