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폐 청산”… 과연 미래 비전인가

  • AD 내외매일뉴스
  • 조회 2093
  • 칼럼
  • 2017.03.31 11:55
        천상기 본지 주필/경기대 초빙교수/ 언론학/한국신문방송편집인클럽 고문
 
대선을 45일 앞둔 지금까지 문재인 후보가 시대정신이라고 내세운 ‘적폐 청산’에 대해 보수진영은 어떤 이슈도 만들지 못하고 있다.
 
아쉬운 것은 ‘적폐 청산’이라는 전투적인 단어 한마디에 국민통합. 경제민주화, 복지확대, 정치쇄신 등 대선과정에서 국민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빅 이슈나 논쟁이 덮여버리고 있다는 점이다.
 
역사와 현실은 함부로 청산할 수 있는 게 아니다. 무조건 싹 쓸어버리겠다는 것은 정치가 아니다. 상대를 마음속으로부터 인정하고 한 가지씩 풀어가는 정치가 더 바람직하다.
 
문 후보는 대연정 논란에 대해 “국론을 통합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지만 적폐를 청산한 뒤 해야 할일”이라고 했다.
 
선거는 누가 시대의 바람을 정확하게 읽느냐에 따라 승패가 갈리는 게임이다. 시대 상황에 맞는 이슈를 선점해 자기 것으로 만들면 이기고, 뒤만 쫓다 보면 맥없이 지게 된다.
 
적폐라는 말이 모호하다면 청산은 폭력적이다. 이 말은 부채청산 같은 곳에나 쓰는 말이지 역사와 사람에게 쓰는 것이 아니다. 적폐에 청산이 결합하면 소통은 살아지고 군사적 일방주의가 들어선다.
 
적폐 청산 같은 말이 광장에는 적합할지 몰라도 그것이 정치가 되면 위험한 일이 벌어진다. 그것을 쓰는 정치인에게도 “당신이야말로 적폐”라는 말로 부메랑이 되어 돌아갈 가능성이 크다.
 
그러면서 아직도 친일 청산이 안 됐다는, 과거 운동권 대학생 같은 의식을 보이며 ‘적폐 청산’과 ‘대청소’를 외치고 있으니 국민이 불안해하는 건 당연하다.
 
대통령이 될 사람이라면 ‘과거’에만 얽매이지 말고 ‘미래’를 보여주길 바란다. 대한민국을 어떤 나라로 이끌지 확실한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그런데 민주당은 경선 운영도 못하면서 국정 운영을 하겠다고…계파 패권주의 결과물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패권 다툼에 몰두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실망한 유권자들이 고개를 돌리지 않겠나. 당의 적폐부터 청산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결국 문제는 문재인이다. ‘문빠’들의 문자 폭탄에 대해 “문자테러도 받을 줄 알아야 한다” 같은 말이 문재인 입에서 나오는 게 그렇다. ‘패권주의’라 비난 받아 마땅하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최순실 일파에 휘둘려 대통령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 민주당 안팎에서 친문세력에 휘둘리는 문 후보에 대한 불안과 우려가 작지 않다.
 
누가 친문 패권주의를 비판이라도 하면 문자폭탄에 시달려야하는 정당은 민주주의와는 거리가 멀다.
 
대세론에 취한 문 후보 주변에 당장 권력을 잡은 듯 완장부대가 득실대는 것은 어두운 그림자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내각에 “부역행위를 저지르지 말라”고 대놓고 협박하는가 하면 ‘윤병세 졸개들’이라는 험악한 말이 국회의원 입에서 나왔다. 친문 패권주의라는 말이 괜히 나오는 게 아니다.
 
2012년 지난 대선 전까지만 해도 “정치할 생각은 없다”던 문후보가 이번엔 “3수는 없다”며 권력 의지로 넘쳐난다.
 
선 하던 인상이 독하게 바뀌었다고 인상을 평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주변 사람들이 자꾸 떠나는 것도 좋지 않는 신호다. 48%에 가까운 지난 대선의 추억이 패권의식을 너무 키웠다는 관측이다. 하지만 한 달에도 열두 번 바뀌는 게 한국 정치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이룬 산업화, 민주화,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성과 등 모든 것을 적폐 취급해서야 나라가 앞으로 갈 수가 없다.
 
현행 헌법을 계속 유지하면서 대통령에 당선돼 5년 임기를 누린다면 대통령제의 문제점 때문에 ‘박근혜 시즌2’의 악순환 고리를 끊을 수 없다.
 
당선된 본인은 막강한 권한을 누릴 수 있다고 좋아할지 모르겠지만 국민은 여전히 불안하기만 하다.
 
지난 대선에서도 그랬듯이 문 후보가 안보 불안을 해소하지 않으면 집권이 어려울 수도 있다. 집권에 성공한다 해도 ‘반쪽대통령’에 그칠 공산이 크다.
 
 sk1025@empal.com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싸이공감 네이트온 쪽지 구글 북마크 네이버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