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페이지
즐겨찾기-북마크
RSS 구독하기
전체검색
새글모음
현재접속자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정치
정치일반
청와대
국회·정당
외교안보
행정·자치
경제
경제일반
증권
부동산
금융·재테크
IT
사회
사회일반
의료·건강
여성·복지
노동
교육
사건사고
국제
국제일반
미국
유럽
중국
일본
중동·아프리카
지방
수도권
충청
강원
영남
호남
제주
문화
문화일반
영화·애니
방송·연예
음악·공연
스포츠
스포츠일반
축구
야구·MLB
골프
농구
오피니언
사설
칼럼
기고
포토뉴스
화보
포토뉴스
채널N
칼럼
+ 더보기
<금주의 인물> '정크 아티스트' 에릭 송
<환영사> 황재명 대표(제17회 대한민국 환경봉사대상)
<기자제언> 김문수의 대세론(大勢論)
<기자제언> 김문수의 대세론(大勢論)
기고
내외매일뉴스
“한글은 이제 언어를 넘어 글로벌 젊은이들의 암호이다. 누리는 자들만이 아는 암호”
기고
내외매일뉴스
3,142
02-16
산·학 협력 기반 AI반도체 최고급 인재 양성…연간 370명
1,958
02-16
정부 "의료개혁 착실히 이행…2차병원 구조전환 방안도 마련"
3,051
02-16
AI로 하천 수위 변동 예측…홍수 피해 예방 '골든타임' 지킨다
2,013
02-16
사면·급경사지, 공사 현장 등 해빙기 취약시설 안전점검 실시
1,987
02-16
문체부, 하얼빈 동계AG 한국선수단 귀국 환영
게시물이 없습니다.
모델/패션
+ 더보기
새글
새댓글
<광고> 즉시입주 가능 '느보 하임'
글
176
개
전체
사설
칼럼
기고
학교폭력 근절, 이제 국가와 사회가 함께 나서야 할 때
기고
내외매일뉴스
3,809
05-11
제주동부경찰서 삼양파출소 부정웅 경장 ‘4대 사회악 근절’이라는 국정과제 중 하나인 학교폭력 문제는 매년 많은 우리 아이들이 고통을 호소하고 있는 심각한 사회문제이다. 학교폭력은 언어폭력, 신체적 폭행, 집단따돌림, 금품갈취, 강제심부름, 스토킹, 강제추행, SNS 등 사이버 상에서의 욕설, 비방, 따돌림 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면서…
비정상의 정상화를 위한 112 허위신고 근절
기고
내외매일뉴스
3,633
05-06
제주동부경찰서 삼양파출소 경장 부정웅 경찰에서는 지난 4월 1일부터 112신고를 내용에 따라 기존 3단계에서 5단계로 세분화해 접수하는 새로운 신고체계를 시행하고 있다. 긴급성에 따라 대응코드를 세분화하여 절박한 위험에 처한 국민이 제때 구조를 받을 수 있도록 긴급신고 대응에 역량을 집중하여, 긴급하지 않은 신고에 경찰력이 낭비되는 일을 막고, 긴급한 신고…
‘세계 속의 제주’ 첫걸음, 기초질서
기고
내외매일뉴스
3,628
04-25
제주동부경찰서 삼양파출소 경장 부정웅 1982년 3월, 미국의 범죄심리학자인 제임스 윌슨과 조지 켈링은 ‘깨진 창문이 가득한 건물을 보는 사람들은 어떨까’라는 가설을 던지며 흥미로운 실험을 합니다. 변두리 지역에 유리창 하나가 깨진 집을 그대로 두었는데, 그 결과 그 집은 폐허처럼 됐습니다. 지나가는 사람들이 깨진 창문을 보고 그 건물…
들樂날樂, 그리고 들Lock날Lock
기고
내외매일뉴스
3,532
04-25
제주동부경찰서 삼양파출소 부정웅 경장 2016년도 제주지방경찰청 생활안전과에서는 새로운 캐치프레이즈를 ‘들락날락’으로 정했다. 이는 두가지 의미로 사용되어 하나는 즐거울 락(樂)을 사용해서 "들樂날樂" 출근할때 즐겁게, 퇴근할때 즐겁게, 경찰 내부에서의 직무만족도 향상과 더불어 관광객들이 제주도에 들어올때 즐겁게 나갈…
“교통 삼다·삼무, 제주가 안전해져요”
기고
내외매일뉴스
4,002
04-25
제주동부경찰서 삼양파출소 경장 부정웅 -도민이 믿고, 만족하는 제주경찰- 예부터 제주도를 삼다삼무(三多三無)의 섬이라고 불렀습니다. 삼다(三多)는 돌, 여자, 바람 세가지가 많아 붙은 이름이고, 삼무(三無)는 거지, 도둑, 대문이 없다는 뜻입니다. 2016년 제주지방경찰청에서는 이를 우리 경찰활동에 적용시켜 도내 교통안전을 위해 ‘교통 삼다&mi…
여론조사 믿었다가 큰 코 다친다
칼럼
내외매일뉴스
3,824
04-25
천상기 경기대 초빙교수/ 언론학/ 한국신문방송편집인클럽 고문 4.13 총선 개표 결과는 사전 여론조사 무용론을 불러오고 있다. 지상파 방송3사가 66여억 원의 예산으로 공동 실시한 출구조사도 ‘여소야대’는 예측했으나 제1당을 맞히지 못해 ‘반쪽 짜리 성공’에 그쳤다는 평가가 나온다. 최대 격전지 중 한 곳이었던 서…
제2, 제3의 ‘태양의 후예’ 나오려면
기고
내외매일뉴스
3,845
04-18
심상민 성신여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최근 이야기산업 활성화를정점으로 끌어올린것은 단연 드라마 ‘태양의 후예’다. 송중기, 송혜교 송송 커플이나 회당 1억 원 받는다는 김은숙 작가, 영화 잘 만들기로 이름난 제작사 NEW가 일등공신들이다. 급기야 3월 30일에 송중기가 연예인 사상 최초로 KBS 9시뉴스에 나오자 이야기산업은 일약…
북 엘리트층 잇단 탈북·귀순과 북한의 미래
칼럼
내외매일뉴스
3,849
04-18
홍관희 고려대 북한학과 교수 지난 7일 중국 내 북한식당 종업원 13명이 서울로 집단 귀순한데 이어, 대남 공작업무를 담당하는 정찰총국 출신 북한군 대좌가 딸과 함께 작년에 탈북해 한국으로 망명한 사실이 확인됐다. 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주재 중견 외교관 일가족 4명이 지난 해 5월 한국에 망명하는 등 북한 당(黨)·정(政)·군(軍…
김종인-문재인 더민주 갈등 막전막후
칼럼
내외매일뉴스
4,139
03-29
천상기/본지 주필/ 경기대 초빙교수/ 언론학/ 한국신문방송편집인클럽 고문 더불어민주당은 비례대표 후보 선정을 둘러싼 당내 갈등 과정을 통해 친노.운동권 본색이 다시 드러났다. 문재인 전 대표가 당의 변화를 명분으로 김종인 대표에게 총선 지휘봉을 맡겼지만 결과적으로 김대표는 ‘포장’역할에 그쳤다는 것이다. 더민주 중앙위원회는 투표를 통해…
인공지능사회 오기 전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칼럼
내외매일뉴스
3,862
03-15
이세돌 vs 알파고 ‘세기의 대국’을 보며 손영성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책임연구원 손영성 ETRI 책임연구원 1974년 호주 ABC방송은 소설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의 작가 아서 클라크 (Arthur C. Clarke)와 미래 가정용 컴퓨터와 인터넷에 대해 인터뷰를 했다. 그는 다가오는 2001년에는집집마다 &…
‘수출 효자’ 한미FTA 4년…투자유치도 큰 효과
기고
내외매일뉴스
3,286
03-15
김영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지역무역협정팀장 3월 15일로 한미FTA 협상이 선언된 지 10년, 추가협상을 거쳐 발효된 지 4년을 맞이하게 된다. 미국이라는 거대 선진 경제권과 수준 높고 포괄적인 FTA를 체결했다는 점에서 당시 많은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였다. 협상 당시나 국회비준 과정에서 보였던 관심은 다소 줄었지만, 이제 한미 FTA가 어떤 성과를 가져왔는…
北核제재 한계…요동치는 한반도
칼럼
내외매일뉴스
3,718
03-03
천상기 경기대 초빙교수/ 언론학/한국신문방송편집인클럽 고문/본지 논설위원 북한은 이미 4차 핵실험과 6차례의 미사일 발사를 감행했다. 유엔 제재 결의 등 강도 높은 국제 제재에도 아랑곳 않고 되레 테러도발을 공언하고 있다. 오늘의 한반도 상황은 엄중한 위기다. 박근혜 대통령의 개성공단 전면중단,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대북 제재 서명, 그리고 시진핑 중국의 …
다문화 다국적 선수들이 빚어낼 ‘평창 코리아’
기고
내외매일뉴스
4,625
03-03
평창의 봄이 어느덧 2년 앞으로 다가왔다. ‘삼수’ 끝에 유치한 평창 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개막 2년을 앞두고 대회별 운영능력을 점검하는 총 28차례의 테스트 이벤트들도 하나둘 시작됐다. 국내외에서는 겨울스포츠 시즌의 대미를 화려하게 장식하는 대표선수들의 잇따른 선전이 ‘2018년 2월’의 도약을 예고…
평화, 대한민국이 나서야 세계가 나선다
칼럼
내외매일뉴스
3,887
03-03
양욱 한국국방안보포럼 수석연구위원 북한이 일을 벌였다. 1월초부터 핵 실험으로 세상을 흔들더니 한 달 만에 장거리 미사일까지 날렸다. 북핵 협상과 평화에 대한 기대를 단 숨에 날려버리는 만행이었다. 그들이 누차 주장한 대로 핵은 “거래수단도 흥정물도 아님”을 그대로 보여주었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하여 새로…
어떻게 안전문화를 정착시킬 것인가
칼럼
내외매일뉴스
3,778
02-23
박인용 국민안전처 장관 필자가 지난 1년 동안 만났던 분들 대부분은 우리나라가 안전하게 되려면 무엇보다도 ‘안전문화정착’이 중요하다고 강조 했다. 막연한 주장에서부터 나름대로의 해법까지 제시하신 분도 있었다. 그만큼 우리사회 안전을 향한 열정이 높은 분들이 많다는 증거다. 이러한 국민들의 여망을 정책으로 담아내는 것은 정부의 몫이다. …
글쓰기
제목+내용
제목
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댓글)
글쓴이
글쓴이(댓글)
그리고
또는
처음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뒤
사이트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책임의 한계와 법적고지
이용안내
모바일버전
상단으로